블로그 포스팅 주제, 즉 키워드를 찾으려고 하면 고통스러운 검색을 많이 해야한다. 하지만 내가 꼭 고민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 싶을 때도 가끔있다. 그냥 남들이 이미 개척하는 키워드를 따라 쓰기만 해도 되지 않을까? 하는데 생각이 다다른 것이다.
블로그 포스팅 주제 찾기
우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고수의 블로그로 생각되는 블로그를 찾아야 한다. 일단 거기까지는 어떻게든 내가 스스로 알아내야 한다. 내가 관심있어서 잘 쓸 수 있는 주제의 글을 다루는 블로그를 찾는 것이 좋겠지.
거기까지는 남들이 어떻게 해결해 줄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스스로 해야 하는 부분이다.
그 다음에는 해당 블로그 주인장이 어떤 글들을 쓰는지, 염탐을 해야 하는 때가 온다. 같은 티스토리 블로그를 사용한다면 '구독'을 하면서도 할 수 있겠지만 그것은 내 블로그를 상대에게 노출하는 효과도 있기 때문에 대놓고 따라하는 것을 하지 못한다.
물론, 거기에도 꼼수는 있다. 왜 꼭 구독한 블로그에서만 글을 써야겠는가? 그럴 필요는 없지. 구독은 다른 서브로 해 놓고 실제 글은 다른 블로그에 해 버리는 방법도 있다. 아무튼 중요한 것은 그 블로그가 어떤 글을 앞으로 써나가는지를 알아두면 내가 편해진다는 것이다.
그 블로그도 어딘가 뭔가를 보고 따라하는 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스스로 키워드를 찾아서 정리한 후 글을 쓰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어찌되었든 나의 고통스러운 키워드 탐색 과정을 남이 대신 해 주는 것만큼 편한 것이 있겠는가.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등에서 기본으로 제공해 주는 RSS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다. 블로거인 우리는 우리 글들이 외부에 노출되게 하기 위해서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을 하거나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등록을 한다.
거기 블로그 등록해 놓으면 어떤 기준으로 가져가겠는가? 바로 사이트맵과 RSS를 기반으로 정보를 가져간다. 글을 쓰면 글을 썼다고 RSS가 업데이트가 되고 이것이 업데이트 되면 구글과 네이버가 글을 인덱싱 해 가는 것이다.
여기서 힌트가 나온다. RSS를 내가 바로 받아보면 어떻게 되겠는가? 아주 편하게 해당 블로거가 글을 썼을 때 알람을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너무 쉽다.
RSS를 볼 수 있는 서비스를 하는 곳은 많이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곳이 feeder와 feedly가 있다.
Feeder 주소: https://feeder.co
Feedly 주소: https://feedly.com
둘 다 RSS 주소를 등록하면 등록해 놓은 블로그에서 새 글이 발행되면 알림을 준다. 등록 방법은 염탐하려는 블로그 주소 끝에 /rss(티스토리 기준)을 붙이면 바로 등록이 된다.
Feeder의 경우 과거에는 무료 계정도 100개의 RSS 주소를 등록할 수 있었는데, 최근 업데이트 되면서 10개로 줄어들었다. 따라서 블로그 염탐을 많이 할 것이라면 Feedly가 더 사용하기 좋다. Feedly의 경우 무료 계정으로 등록할 수 있는 피드의 개수가 100개까지 된다.
사실 둘 다 구글 계정만 많다면 무한대로 늘릴 수 있다. 계정 전환해 가면서 보는게 귀찮아서 그렇지. 원한다면 그리 해도 된다. 아무튼 둘 중에는 Feedly가 조금 더 무료 사용하기 좋은 상태이다.
내 경우 현재 25개 정도의 유튜브,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를 등록해 놨다. 너무 많이 해 놓으니까 정보만 넘쳐나서 뭐부터 해야할지 모르겠더라. 그래서 진짜로 딱 해야 할 것만 해야겠다 싶어서 조금 접근을 다르게 해 보는 중이다.
이 글을 보신 분이라면 저 두 서비스를 비교해서 자신에게 더 맞는 곳으로 꼭 이용해 보길 권하는 바이다.
'미라클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지텍 MX KEYS로 키보드를 바꾸다 (0) | 2022.04.21 |
---|---|
석촌호수 벚꽃 아주 멋지게 개화 (0) | 2022.04.08 |
하동 벚꽃 실시간 확인하기 (0) | 2022.03.22 |
네이버 지식인을 활용한 외부유입 (0) | 2022.03.16 |
고구마와 감자 심는 시기 (0) | 2022.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