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라클한 정보

네이버 지식인을 활용한 외부유입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다음(Daum)에서 최적화만 확인되면 검색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초반에는 그것에 의존하면서 블로그를 키우게 된다. 하지만 Daum의 검색 시장점유율은 그야말로 바닥을 기고 있어서 그렇게 들어오는 유입은 얼마 되지 않는다.

 

하지만, 문제는 그나마의 유입도 소위 말하는 저품질을 당하게 되면 들어오지 않게 되는데 있다. 다음에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는 하다. 어떤 키워드의 정확한 정보를 검색하는 것은 구글에 밀리고, 인기있는 정보글을 순위를 잘 정해서 보여주는 것은 네이버에 밀린다.

 

그럼 다음 검색이 설자리는 무엇인가? 바로 최신성을 노리는 것이다. 다음이라고 구글이나 네이버처럼 검색 결과를 인덱싱 못하라는 법이 있는가? 그렇지 않다. 그들도 마음만 먹으면 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그런 방식으로 구글과 네이버를 쫓아간다면 다음 검색이 설자리는 더더욱 없어질 수 있다. 

 

검색 결과가 비슷하다면 누가 다음 검색을 쓰는가, 안 쓰지. 그냥 구글로 가거나 네이버로 간다. 그래서 다음에게 남은 것은 최신성 정보로 계속해서 블로그 콘텐츠를 갈아엎어 주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다음 블로그 최적화를 이용한 검색 노출 상단 전략이다. 그런데 이런 특성을 노려서 자신의 콘텐츠로 상단을 여러번 차지하려고 하다보면 저품질이 오게 마련이다. 다음 유입이 절대적인 블로그였다면 그야말로 멘붕이 오는 것.

 

네이버 지식인을 활용한 외부유입

정보성 블로그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바로 정보를 주기 위함이 아닌가. 그런데 왠만큼 작업을 잘 해 놓지 않으면 정보성 키워드로 내 글이 노출되게 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구글 상단을 노리면 된다고? 그렇게 생각하고 글을 쓰는 블로거만 수백이다. 하나의 키워드에 수백명이 달라붙어서 SEO구조를 맞추고 백링크도 넣고 하는 중인데 쉽게 구글 상단에 노출이 될 수가 없다. 

 

네이버에 노출되면 된다고? 그게 맘대로 되나. 네이버에서 웹사이트 영역이 위로 나오는 키워드를 노리면 된다고 한다. 그게 말이 쉽지, 키워드 하나씩 확인해 보려고 하면 그것도 일이다.

 

하지만, 정보성 키워드 글은 그 정보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던져주는 것은 문제가 안 된다. 바로 이 지점에서 네이버 지식인이 등장한다. 자신이 스스로 정보를 찾아보는 사람들도 많이 있지만, 그렇지 않고 남이 정리를 해 주는 정보를 보는 것을 원하는 사람도 매우 많다.

 

생각보다 우리나라 사람들 떠먹여주는 콘텐츠를 좋아한다. 그런 측면에서 네이버 지식인은 효과적이다. 내가 나름 잘아는 분야가 있다고 생각이 되면, 그런 정보 글을 쓰고 그것을 질문하는 사람에게 내 블로그로 답을 주는 것이다.

 

이게 먹히겠어 생각해 볼 수 있겠지만, 막상 해 보면 생각보다 재미있고 보람이 있는 경우도 많다. 그런 측면에서 정보성 글을 적는 블로그라면 네이버 지식인은 하나의 수단이 되는 것이다.

 

그런 취지로 열심히 했더니, 어느덧 식물신을 앞두고 있다. 

 

실명 인증된 계정 3개는 모두 신으로 만들어 보는게 목표다. 생각보다 내 성격에 잘 맞는 것이어서 더 열심히 하는 것도 있는 듯하다. 과도하게 몰입하는 느낌도 없지 않지만 말이다.

 

저품질 여부와 상관없이 지식인은 도전해 볼 수 있는 것이니, 외부유입을 고민한다면 지식인도 생각을 한 번 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